Ⅰ. 서 론
아동은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환경적인 요소 와 상호작용하며 일련의 발달순서에 맞게 성장한다 (Bendixen & Kreider, 2011). 그러나 장애아동은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발달단계가 생략되거나 동일 연령대 아 동에 비해 발달이 지연되며, 신체, 정서, 인지, 언어, 학습 능력 등의 장애로 인해 보호, 양육, 교육, 재활과 사회적 응에 있어 특별한 보호를 필요로 한다(Kemp, 2015). 그 러므로 장애아동에게는 조기에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재활치료가 필수적이다(Park, 2010).
재활치료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을 포함한 각종 장애 현상에 대해 의학적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 적, 직업적 영역에 걸쳐 신체기능의 회복, 원활한 사회참 여와 활동을 위한 심리 사회적 기능의 회복을 돕는 치료 적 접근을 말한다(김기수, 양신승, 이경준, & 조정하, 2016). 장애아동은 성장하면서 조기중재의 유무에 따라 신체 및 정신적 기능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장이 끝나기 전에 재활치료와 같은 전문적인 개입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Guralnick, 2011).
재활치료의 종류에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음악치료, 놀이치료, 미술치료, 심리·행동치료 등이 있 다(김성희 등, 2014). 그 중 작업치료란 재활치료의 한 분야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발달과정에서 어떠한 이 유로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활동(작 업)을 통해 최대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능 동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료, 교육하는 보건의료의 한 전문 분야이다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17). 아동분야의 작업치료는 신체·정신적으로 장애를 동반한 아동의 발달 치료, 특 수학교 내에서의 치료, 직업 전 준비기술 훈련 및 부모교 육 등으로 아동의 적극적인 작업 참여를 주요 목표로 한 다(Yoo, Lee, Kim, Cha, & Park, 2012).
현재 작업치료 분야에서 보호자 상담과 교육은 주요 중재방법 중 한 가지로 꼽히고 있다. 보호자 상담 및 교육 은 작업치료사가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내담자인 부모와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시도하여 최상 의 치료 효과를 이끌어가는 중재방법이라고 정의된다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08). 특히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중재를 강조하는데, 작업치료사가 가족과의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협력 정도에 따라 아동 치료의 성공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Case-smith, 2001). 또한 Anderson과 Hinojosa(1984)는 작업치료사가 치료과 정에서 부모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여 부모 자녀 간 상호 작용의 이해를 높이고, 부모와 효과적인 협력을 위해서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장애아동의 부모는 자녀의 독특한 행동과 발달 특징을 정확히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자녀의 장애로 일어 날 수 있는 문제를 예상하지 못할 수 있어 문제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거나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Lee, 2010). 장애아동의 부모는 아 동의 행동을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한 전 문가의 조언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동작업치료사는 장애 아동 부모에게 사회적,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필요한 지 식, 정보 등을 집중적으로 제공하여, 문제를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서 도와주어야 한다 (Bailey & Garralda, 1998;Kim, Jang, & Ahn, 2005).
부모 상담은 부모를 내담자로 상정하고 부모의 심리적 인 문제를 다루는 치료적 목적과 아동에 대한 이해와 양 육 방법 등을 알려주는 교육적 목적이 상존한다(Kim & Han, 2018). 유미숙(1997)은 부모 상담의 내용을 치료 적 목적과 교육적 목적으로 유목화하였으며, Ki(2006) 는 각각의 하위요인을 구분하여 교육적 요인은 전문적 조언과 정보 제공, 부모 교육, 치료과정 설명, 치료 조력 자로서의 훈련으로 구분하였으며, 치료적 요인은 부모 자신의 문제 상담, 부부관계 문제 상담으로 구분하였다. 부모 상담은 부모를 치료의 조력자로서 아동양육에 대해 자문하는 것, 즉 아동양육에 대한 교육과 부모 개인의 문 제까지 다루는 상담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부모 상담 과 교육은 재활치료 영역에서 함께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Kottman, 2003).
국내의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장애아동 부모의 치 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치료사와 장애아동 부모와의 효 율적인 상담 및 교육의 의사소통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 고 있다(Jeon, Yoo, Jung, & Lee, 2016). 이와 같은 부 모 상담과 교육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작업치료 분야에서 도 관련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Jeon 등(2016)의 연구에서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 상담 실태와 상담 욕구 조사가 실시되었지만, 대상자가 서울과 경기 에 한정되어 지역적 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설문 대상이 장애아동의 부모로만 국한되어 작업 치료사들이 인식하는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국외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장애아동 부모 상담과 교육뿐만 아니라 부모와 치료사 의 협력 및 파트너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연구가 시행되었고, 최근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원 격재활(telerehabilitation) 및 텔레헬스(telehealth)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어 국외의 사례들과 비교하면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Gibbs & Toth-Cohen, 2011;Novak & Honan, 2019;Wallisch, Little, Pope, & Dunn, 2019).
장애아동을 치료하는 인접 분야인 놀이치료 영역에서 는 부모와 상담자를 모두 대상으로 하여 부모 상담 현황 및 상담자와 부모의 인식 연구를 실시하였고, 이후 치료 사를 대상으로 부모 상담 실태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Ju & Kim, 2005; Kim, 2009). 또한, 부모 상담 경험에 대 한 질적 연구, 놀이치료 진행 단계에 따른 부모 상담 내용 연구, 부모 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부모 상담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 최근까지 부모 상담과 관련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Cho & Kim, 2016;Kim & Han, 2018;Kim & Han, 2021;Yoo, Jang, & Han, 2013). 또한 미술치료, 언어 치료 영역에서도 각각 부모 상담 현황 및 부모 상담에 대 한 치료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연구와 부모 상담에 대한 어머니와 상담자의 인식 연구가 시행되었고, 언어치료 대상자 부모와의 상담 전략에 관한 제언 연구, ADHD 아 동의 가족미술치료에서 부모 상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연구, 언어치료 경험에 따른 부모 상담 현황 연구, 사설 아동발달센터의 부모 상담 실태와 인식 연구가 진 행되었다(Heo & Kim, 2019;Jung & Choi, 2020;Lee & Ahn, 2022; Lee, 2008;Park & Lee, 2021; Sim, 2012). 이처럼 타 분야에서는 장애아동 부모 상담과 교 육의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연구가 시행된 이후로 부모 상 담 전략 및 내용에 대한 연구와 부모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는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치료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기초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작업치료 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 상담과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치료사가 부 모 상담과 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조사해봄으로 써 보다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계획하는데 필요 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현재 이루 어지고 있는 부모 상담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치료 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탐색하여 향후 아동작업치료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 프로토콜 또 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총 228명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은 다음과 같다(Table 1). 응답자의 성별은 여자(86.8%), 연령대는 20대(59.7%)가 가장 많았고, 미혼(62.3%) 및 자녀가 없는 대상자(65.8%)가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학 사(72%)가 가장 많았다. 또한, 정규직(71.5%) 형태로 사설치료센터(연구소 및 발달센터)(30.2%)에서 아동작 업치료 경력 5년 미만(58.3%)으로 근무하는 자가 많았 다. 응답자가 가장 많이 치료하고 있는 장애 유형은 발달 지연(41.7%)이었으며, 하루 평균 치료하는 아동 수는 5 명 이상~10명 미만(59.6%)이 가장 많았다. 부모 상담 및 교육과 관련된 교육 이수 경험이 없는(68.4%) 응답자 들이 더 많았고, 교육 이수시간은 5시간 미만(58.3%)이 었다. 교육은 아동작업치료 관련 학회(33.9%)에서 이수 한 것이 가장 많았고, 교육 주제는 부모 상담과 교육 사례 (41.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절차
설문지 배포 및 회수는 2021년 7월 24일부터 8월 31 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구글 설문지 형식으로 변 환하여 Uniform Resource Locator(URL)을 대상자에 게 직접 배포하였다. 설문지를 배포하기 전, 7월 6일 원 광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 IRB 심의의뢰서를 제출하였 고, 7월 23일 연구계획을 승인(연구승인번호: WKIRB- 202107-SB-052)받았다. 설문 배포 시, 연구의 목적 을 설명한 뒤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설문 이 이루어졌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에게는 모든 응답 이 회수된 뒤 소정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총 228개의 응답이 회수되었고, 불성실하게 응답된 설문지는 없었기 때문에 228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Ju와 Kim(2005)이 제 작한 부모 상담 현황 및 상담자, 부모의 인식 연구의 설문 문항을 참고로 아동작업치료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 하여 구성하였다.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 치료사는 대상 아동의 평가와 중재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을 함께 진행한다(Case- Smith, 2007; Myers,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 담과 교육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개념으로 통합하여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연구 대상에 대한 일반적 정보’, ‘부모 상담과 교육 실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 의 인식’의 3가지로 구분하였고,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 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에 대한 부분을 ‘치료사의 인식’,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 ‘부모 상담과 교육의 효과’, ‘치 료사의 만족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중 일부 항목은 2~9지선다형의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나머지 문 항은 매우 그렇다(5), 그렇다(4), 보통이다(3), 그렇지 않다(2), 매우 그렇지 않다(1)인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총 8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초안 제작 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관련 분 야의 전문가에게 설문지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작업치료 분야의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작업치료학과 교수 3인으로 항목의 적절성을 확인하였 고, 아동분야 임상경력이 7년 이상인 작업치료사에게 설 문지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전문가 검토 및 임상가 자문을 통하여 설문지 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설문지 완성 후, 본 연구의 설문지에 대한 문항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 료사의 인식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0.707였 고,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의 신뢰도 계수는 0.908이었 다. 부모 상담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의 신뢰도 계수는 0.929로 나타났고, 부모 상담과 교육 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만족도 신뢰도 계수는 0.890으로 나타났다.
4. 분석 방법
설문지의 각 문항을 부호화(coding)한 후 윈도우용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모든 항목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문항 내적 일치 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또한 부 모 상담 및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과 관련된 각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p < 0.05).
Ⅲ. 연구 결과
1. 부모 상담과 교육 실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과 같다(Table 2).
부모 상담과 교육은 응답자의 96.1%에서 시행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적인 형태(55.3%)로 치료의 매 회기마다(82.9%) 치료 후(97.4%)에 10분 이내 (58.3%)로 아동의 모(81.1%)와 함께 실시한다는 응답 이 가장 많았다. 상담과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기 관의 체계 상 상담 및 교육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없거나 부족함(90.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 상담과 교 육 시 치료사가 느끼는 어려움과 아동의 부모가 느끼는 어려움 모두 부모 상담 시간 확보의 어려움(33.3%, 42.1%)이었다.
2.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1)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살펴보 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택형 문항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Table 3).
모든 대상자가 부모 상담과 교육은 필수적(100.0%) 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적합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목적은 부모를 치료의 협조자로 만들어 아동 치료의 효 과를 높임(67.1%)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상담과 교 육은 정기적(73.2%) 형태로 매 회기(54.3%) 치료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80.0%)에 10분 이내 (60.1%)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또 한, 적절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대상은 부모 모두 (74.1%)라고 응답하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인식 항목의 Likert식 5점 척도 질문에 대상자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Table 4).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한 프 로토콜이 필요하다(4.41 ± 0.68)’의 평균이 가장 높았 고, ‘부모 상담과 교육 시 치료사의 임상 경력이 상담에 영향을 미친다(4.37 ± 0.69)’의 평균이 그 다음을 이루 었다. ‘부모 상담과 교육 시 치료사의 결혼 여부가 상담에 영향을 미친다(3.35 ± 1.28)’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 났다.
2)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 항목의 Likert식 5점 척도 질 문에 대상자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Table 5).
‘나는 아동이 받고 있는 치료 과정 및 목표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한다(4.37 ± 0.59)’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 났고, ‘나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발달 수준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한다(4.20 ± 0.68)’가 그 다음을 이루었다. 또한 ‘나는 부모의 심리적인 문제를 다룬다(3.58 ± 0.88)’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부모 상담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부모 상담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항목의 Likert식 5점 척도 질문에 대상자의 응답은 다음 과 같이 나타났다(Table 6).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가 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이 해하는데 도움이 된다(4.57 ± 0.54)’의 평균이 가장 높 았고,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가 아동의 치료 과정 및 목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4.56 ± 0.54)’가 비슷 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가 아동 작업치료 이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3.98 ± 0.90)’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만족도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만족도 항목의 Likert식 5점 척도 질문에 대상자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Table 7).
‘나는 부모 상담과 교육 시, 나의 태도에 대해 만족한 다(3.72 ± 0.87)’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는 부모 상담과 교육 장소에 대해 만족한다(3.28 ± 0.88)’ 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부모 상담과 교육의 필요성, 내용, 효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Table 8). 모든 상관관계에서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이 중 부모 상담 및 교육 내용과 치료사의 만족도 간 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 .611, p < .05).
Ⅳ. 고 찰
본 연구는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작 업치료사 228명을 대상으로 아동작업치료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 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중 부모 상담과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면, 부 모 상담과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가 96.1%로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상담과 교육은 절반 이상이 정기 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중 82.9%가 매 치료 회기마다 진행되었다. 이는 최근 아동작업치료 현장에서 부모 상담 과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대부분의 기관 및 치료사가 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Jeon 등(2016)의 연구에서 치료사가 치료의 협조자인 장애아동 부모의 욕구를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장애아 동 부모 상담을 계획하고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과 같이 국내 아동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장애아동 부모의 치 료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치료사와 장애아동 부모와의 효 율적인 상담 및 의사소통이 필수적이게 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부모 상담과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가 별도의 시간이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치료사들은 상담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이유로 상담 시간이 매 우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 상담과 교육은 81.1%가 아동의 ‘모’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부모 상담 실태와 상담욕구 조사를 알아본 선행연구에서 대상자의 93.2%가 아동의 ‘모’였다는 것과 일치하였다 (Jeon et al., 2016).
상담과 교육에 소요되는 시간은 절반 이상이 10분 이 내로 응답하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은 97.4%가 치료 후 에 진행되었고, 상담과 교육 장소는 64.9%가 치료실이라 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재활치료 영역에서의 장애아동 부모 상담과 교육 현황을 확인해 본 Ju와 Kim(2005)과 Sim(2012)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대상, 시간, 시점에서는 본 연구 결과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장애아동 부모 상담과 교육의 장소에 있어서는 놀이치료의 경우 ‘부모 상담실’ 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언어 및 작업치료에 비해 부모 상담 및 교육의 환경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 다. 특히 Ju와 Kim(2005)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상담의 효과에 영향을 주므로 상담 상황에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아동작업치료 현장의 부모 상담과 교육도 상담실을 따로 마련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 로 여겨지며, 상담하는 동안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인력 이 충원되면 양질의 상담이 가능해질 것이다.
부모 상담과 교육 시 치료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상담 및 교육 시간의 확보가 33.3%로 가장 높았고, 치료사가 생각하는 부모가 느끼는 어려움 또한 상담과 교육 시간 확보의 어려움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아동작업치 료 현장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한 시간 확보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Sim(2012)의 언어치료 부모 상담 선행연구에서는 부모 상담 시간에 대해 치료사와 부모 모두 10-20분 사이가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하였 으며, 현실적으로 대부분 10분 이내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 시간을 고려해 볼 때 욕구하는 상담 내용을 충족시 키기는 부족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아동작업치료 분 야 및 타 분야의 선행 연구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상담 및 교육 시간의 확보가 어렵다는 결과가 반복적으로 언급되 었다. 그러나 환경적으로 치료 및 부모 상담과 교육 제공 기관에서는 정해져 있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그 체계를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확장시켜, 그 내용을 문서 화 하거나 원격으로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아야 한 다. 또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도 개선 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치료 교육과정 내에 관련 강좌를 개설하거나 부모 상담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개 발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의 선택형 문항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대상자가 아동작업치 료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은 필수적(100.0%)이라고 응 답하였으며, 이는 아동작업치료 현장에서 작업치료사가 중재 방법 중 하나인 상담을 치료현장에서 적절하게 사 용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가 상담자로서의 역할도 중요 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지표가 될 수 있다.
가장 적절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대상은 ‘부모 모두’가 74.1%로 응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상담과 교육 실태에서 주 상담자가 아동의 ‘모’임을 확인했지만, 가정 과 작업치료 간 연계에서 부모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장애아동의 가족 내에서 어머니 를 비롯한 가족 전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아버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Jeon(2010)의 연구에서처 럼 양육 시 아버지의 도움이 어머니에게 지지역할을 한 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Anderson과 Hinojosa(1984) 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따라 장애자녀를 이해 하고 부모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차이를 보인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상담 참여를 유도하고 부 모 모두 상담하는 시간을 따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항 목의 Likert식 5점 척도 질문에 대한 응답은 ‘아동작업치 료 분야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 하다(4.41 ± 0.77)’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해서 작업치료사의 상담 및 교육 과 관련한 이론 및 실습 교육 이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다(4.27 ± 0.77)’의 평균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아 동작업치료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을 시행하면서 효과적 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계획하고 진행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임상가를 위한 부모 상담과 교육과 관련한 이론 및 실습, 교육 이수 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모 상담과 교육 시 치료사의 임상 경력이 상 담에 영향을 미친다(4.37 ± 0.69)’의 평균과 ‘부모 상담 과 교육 시 치료사의 양육 경험이 상담에 영향을 미친다 고 생각한다(4.03 ± 1.01)’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 는 장애아동의 부모가 초보 치료사보다는 임상경험이 있 는 치료사를 선호한다는 것으로, Jang(2012)의 연구에 서 가장 선호하는 치료사가 5년차로 나타난 점에서 임상 경험이 많은 치료사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일반적인 아동발달단계 등에 대해 치료사가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부모 상담에 유리한 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치료사가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아동작업치료의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에서 는 ‘나는 아동이 받고 있는 치료 과정 및 목표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한다(4.37 ± 0.59)’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동작업치료 현장에서 작업치료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을 통해 아동의 부모에게 현재 받고 있는 치 료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부모 의 심리적인 문제를 다룬다(3.58 ± 0.88)’의 평균이 가 장 낮게 나타났으며, 아동에 대한 정보에 비해 부모의 심 리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은 보다 적게 다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Ju와 Kim(2005)과 Sim(201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부모의 심리문제가 아동에게 영 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다뤄주는 것이 중요하지만, 주 로 10분 이내의 짧은 상담과 교육 시간에 아동에 관한 상담이 대부분이므로 부모의 문제까지 다루는 것에는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작업치료에서의 장애 아동 부모상담 욕구를 살펴본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는 자신들의 문제해결 상담을 원하기는 하지만 작업 치료사보다는 상담전문가에게 받고 싶다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미루어 봤을 때, 부모의 문제해결 상담에서는 부 모가 내담자로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상담가에게 의뢰를 하고 협조를 해나가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Jeon et al., 2016). 더불어 작업치료사가 부모의 심리를 다룰 수 있도록 그에 맞는 역량이 필요할 것이다.
부모 상담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에 서는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가 아동의 개별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4.57 ± 0.54)’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가 아동의 치료 과정 및 목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4.56 ± 0.54)’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부모 상담과 교육은 부모 가 아동작업치료 이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3.98 ± 0.90)’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또한 작업치 료사가 아동의 부모에게 장애아동의 행동 특성 및 대처 방법 그리고 작업치료 목표와 과정에 대한 정보를 주로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부모 상담과 교육 시, 부 모가 요구하는 내용은 주로 ‘아동의 개별적 특성, 아동의 치료 과정 및 목표, 가정에서의 연계 치료’에 대한 것이므 로, 치료사가 제공하는 작업치료에 대한 이론과 지식보 다는 아동에 대한 정보나 치료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묻는 영역에서 ‘만족도’에 대한 하위 항목들의 평균은 모두 4 점 미만으로 가장 점수가 낮게 나왔다. 해당 하위 항목들 은 부모 상담과 교육 기술, 내용, 치료사 본인의 태도, 기 관의 태도, 빈도/시간과 장소에 대한 것으로, 치료사 개인 의 역량에 대한 부분과 임상현장에서의 환경적인 부분으 로 나뉜다. 아동작업치료 영역에서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외부 교육이나 교육과정, 또는 기관 자체 내에서의 교육 및 실습, 부모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프로토콜 등이 현재 마련된 것이 없기 때문에 신임 치료사들은 선임 치 료사들에게서 정보를 얻거나 관련 서적 및 자료를 찾아 보는 방법들로 개인 역량을 길러야 한다. 또한, 치료를 제공하는 기관에서의 환경적 요소(장소, 시간, 빈도)에 서도 제약이 많이 때문에 만족도에 대한 하위 항목들의 결과가 낮게 나타난 것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부모 상담과 교육의 필요성, 내용, 효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부모 상담 및 교육 내용과 치 료사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r = .611, p < .05). 이는 치료사가 제공하는 부모 상담과 교육 내용에 대한 질이 높아질수록 치료사 본인 의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앞으로 의 연구에서는 치료사뿐만 아니라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 상으로 아동작업치료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 실태를 조 사하고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인식, 효과,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의미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아동작업치료 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부모 상담 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을 확인해봄으로써 아 동작업치료 현장에서의 장애아동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 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아동작업치료 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 는 부모 상담과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치료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조사해보고자 하 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 현황 결과에 따르면, 상담과 교육은 주로 치료 후 10분 이내로 아동의 ‘모’와 함께 치료실에 서 이루어졌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치료사의 인식 에 따르면, 모든 치료사가 부모 상담과 교육이 필수적이 라고 하였으며, 적절한 부모 상담과 교육의 대상은 ‘부모 모두’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현재 임상 현장에서는 상 담 및 교육을 위한 별도의 시간과 장소가 부족하고,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 진행이 어려운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프로 토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위해 관련된 교육 이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 상담과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내용, 효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상담 및 교육 내용과 치료 사의 만족도 결과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작업치료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 시 효과적인 부모 상담과 교육을 계획 하고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아동작업치 료에서의 부모 상담과 교육 프로토콜 또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