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134(Print)
ISSN : 2671-4450(Onli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30 No.4 pp.81-94
DOI : https://doi.org/10.14519/kjot.2022.30.4.06

Effect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OMFT) on Feeding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young-Chul Min*, Yoo-Im Choi**, Deok-Gi Hong**, Ji-Hee Woo**, Sang-Min Seo***, Hee-Soon Woo**
*Seoul Metropolitan Children’s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myoung University, Professor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n Academy of dysphagia Rehabilitation


Corresponding author: Woo, Hee-Soon (otprime@wku.ac.kr /Dept. of Ocupational Therapy, Wonkwang University, Professor)
28/07/2022 24/08/2022 31/08/2022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on the feeding function of children with CP.


Methods:

A total of 21 participants having CP (3 to 10 years in age) with dysphagi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GMFCS levels of the subjects were from III to V. OMFT was provided 1 time a week (for 30 minutes a session) for 16 weeks (16 sessions). The feeding function (EDACS) was assessed three times prior to treatment, as well as 8 and 16 weeks after OMFT.


Results:

The feeding fun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subjects (p < 0.000) after 8 and 16 weeks of OMFT. Specifically, the results after 16 weeks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after 8 weeks. OMFT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on older children with perceptual limitations and severe motion function problems.


Conclusion:

OMFT was proven to be a useful oral motor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feeding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t least 8 weeks of treatment are needed. In addition, a proper treatment period (16 weeks) was established under clinical settings. OMFT is a helpful oral motor treatment method for clinicians aiming to increase the feeding function of children with CP of various ages, motor functions, and types.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에 미치는 효과

민 경철*, 최 유임**, 홍 덕기**, 우 지희**, 서 상민***, 우 희순**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평균 연령 5.88 ± 1.98세(범위 3~10세) 연하장애를 동반한 21명의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하 였다. 주 1회, 30분, 16주(16회) OMFT를 제공하였다. OMFT가 섭식기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해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 체계(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EDACS)로 측정 하였다. OMFT를 개발한 연구자 1인이 평가를 포함한 전체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아동의 섭식기능에 따 라 개별적인 접근이 적용되었다. OMFT 치료 전, 8주, 16주 총 3회 EDACS 평가를 통해 치료 기간별 치료 효과 차이를 프리드만 검정과 윌콕슨 부호 검정을 통해 검정 및 사후 검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

16주의 OMFT 중재 후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EDACS 단계)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16주 의 치료 기간이 8주에 비하여 섭식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반면 독립적인 먹기(EDACS 도움 단계) 는 변화가 없었다. 연령,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단계, 뇌성마비 분류 등 요인별 사후검정 결과 EDACS 단계에서는 7~8세, GMFCS Ⅲ단계, 무정위형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 서 치료 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EDACS 도움 단계에서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 다.


결론 :

OMFT는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구강운동치료법으로 확인되었다. 적정 기간의 OMFT 적용을 통해 임상에서 다양한 연령, 운동기능 상태, 병변 부위의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 향상 을 위한 종합적인 구강운동치료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Ⅰ. 서 론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영유아기 미성숙한 뇌에 발생하는 소아기 비진행성 신경발달 질환으로 자세 및 운동, 근긴장도 조절 문제가 주요 특징이다(Benfer et al., 2012a). 뇌성마비는 근골격계, 감각, 지각, 인지, 의사소통, 행동 등의 복합 장애 동반이 흔하며 2차적으로 섭식 문제가 흔하게 발생한다(Arvedson, 2013; Benfer et al., 2012a; Calis et al., 2008; Rosenbaum et al., 2007).

    뇌성마비는 영유아 시기부터 효율적인 빨기 및 안전한 삼킴 저하, 빨기-삼키기-숨쉬기 조절 문제, 구강운동기 능 저하, 발달에 따른 음식 질감 전환 및 다양한 질감의 음식 처리 어려움, 독립적인 먹기 능력 부족 등 섭식 및 연하장애 문제가 나타난다(Calis et al., 2008;Morris & Klein, 2000; Rogers, 2004; Sigan et al., 2013; Speyer et al., 2019). 뇌성마비의 섭식 및 연하장애 유 병률은 19%~99%로 그 중 사지마비 아동의 유병률은 86%로 높다(Calis et al., 2008;Korth & Rendell, 2015; Rogers, 2004; Stein, 2000; Speyer et al., 2019). 운동 및 인지 기능과 섭식 및 연하장애는 높은 상관을 보인다(Arvedson, 2013). 따라서 뇌성마비 아 동에게 체계적이고 기본적인 연하재활치료 제공이 필수 적이다.

    구강운동치료(oral motor therapy)는 섭식과 삼킴 기 능을 향상시키는 전통적인 연하재활 치료법 중 하나이다 (Arvedson, Clark, Lazarus, Schooling, & Frymark, 2010; Min, Seo, & Woo, 2021a). 구강운동치료는 자세 조절, 구강 감각 및 운동 자극, 구강 인두 구조물의 움직임 향상 등의 기법을 통해 구강운동기능 및 섭식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Arvedson et al., 2010;Min et al., 2021a). 치료는 아동의 기능 및 발달 수준에 따라 자세 조절, 구강 감각 자극, 구강 구조물 및 호흡 근육 촉진, 운동 조절, 반복을 통한 운동 학습 등 종합적이고 위계적 으로 접근한다(Kent, 2015;Min, Seo, & Woo, 2021b). 또한 기본적인 구강운동치료를 바탕으로 구강 움직임 계 획, 구강 실행기능이 포함된 고차원적 구강 움직임 조절도 목표가 될 수 있다(Arvedson et al., 2010;Min et al., 2021b;Sharp, Volkert, Scahill, McCracken, & McElhanon, 2017). 구강운동치료는 보호자 스트레스 감소, 아동과의 상호관계 증진 등 심리사회적 요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은 치료법이 다(Greer, Gulotta, Masler, & Laud, 2008).

    구강운동치료가 뇌성마비의 섭식 및 연하기능, 구강운 동기능 및 침흘림 조절 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는 이미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다(Baghbadorani, Soleymani, Dadgar, & Salehi, 2014; Gisel, 1994; Sigan et al., 2013;Song, Park, Jung, & Yoo, 2013).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혀와 입술 운동, 씹기 중심 치료 를 개별적으로 진행하거나, 구강운동치료 중 가장 기초 적인 수준인 자세 조절과 감각 자극만 제공, 구강 움직임 을 이해하고 지시따르기가 가능한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 여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구강운동치료 접근과는 거리가 있었다(Baghbadorani et al., 2014; Gisel, 1994; Sigan et al., 2013; Song et al., 2013).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Min 등(2021a, 2021b)은 종합적인 구강운동치료 프로토콜인 구강운동 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을 제안하였다. OMFT는 구강 해부생리학의 이해, 전문 가의 상호적인 도수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 로 구강 감각 자극 및 적응, 자세 조절, 운동 조절 및 운동 학습의 요소가 반영되어 전통적인 구강운동접근을 바탕 으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구강운동치료가 가능하 도록 구성되었다(Min et al., 2021a;Min et al., 2021b). OMFT는 9가지 기본 개념(구강 적응, 인식, 촉 각, 고유감각 자극, 호흡 조절, 신경학적 촉진, 근력 및 근긴장도 조절, 근육 및 구조물 길이 유지, 자발적 구강운 동능력 향상)을 바탕으로 준비 기법, 핵심 기법, 응용 기 법의 3개 기법, 10개 범주, 50개 기술로 구성된다(Min et al., 2021b). OFMT의 효과성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구강 실행능력, 침흘림 및 씹기 능력 증진, 프라더 윌리 아동의 섭식기능 발달 및 보호자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실험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다(Min & Seo, 2021;Min & Kim, 2022).

    뇌성마비의 섭식 및 연하장애 관련 선행연구들은 섭식 기능과 대동작 기능과의 상관관계 또는 유병률을 확인에 그쳤다. 또한 OMFT의 효과성 확인 연구도 사례 연구였 으며 섭식 및 구강운동기능 문제를 가장 크게 보이는 뇌 성마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뇌성마비의 섭 식기능은 구강운동기술과 연관이 크기 때문에 뇌성마비 의 구강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구강운동치료 프로토콜이 섭식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의 섭식기 능 확인을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평가도구인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 체계(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EDACS)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구강운동치료 프로토콜인 OMFT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 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9월까지 진행되었다. 서울 소재 어린이병원에 내원하는 뇌성마비 중 공고를 통해 아동 보호자가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원광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WKIRB- 202106-HR-035)). 아동의 성별, 연령, 진단 등 기본 정보를 의료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운동 기능 수준을 대동 작 기능 분류 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를 통해 평가하였다. 치료 전, 8주, 16 주 총 3회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 체계(EDACS)를 이 용하여 대상 아동의 섭식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자는 보호자(모두 어머니) 질문을 통하여 일반적인 섭식 관련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추가로 아동이 현재 먹을 수 있는 음식 섭취 모습을 관찰하여 섭식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 인하였다. 1회 30분, 주 1회, 총 16주(16회)의 OMFT를 적용하였다. 평가와 치료는 주변 환경의 방해가 적은 연 하재활 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참가 아동은 몸통과 머 리를 지지해줄 수 있는 식사용 의자(feeder seat)에 앉 아서 참여하였다(Figure 1).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성마비 21 명이었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1) 연하장애 진단을 받은 뇌성마비, 2) 3~12세, 3) 전체 회기 중 80% 이상 참여 가능, 4) 이전에 OMFT 경험 없음, 5) 연구 참여 중 다른 연하재활 치료를 받지 않는 아동이었다. 제외기준은 1) 뇌전증, 입에 구조적 문제 동반, 2) 경관 식이, 3) 묽은 액체 섭취 시 흡인 증상이 있는 아동이었다. 대상자의 보 호자에게 연구 목적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자발적인 서면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3. 평가 도구

    1)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 체계(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EDACS)

    Sellers와 Mandy, Pennington, Hankins, Morris (2014)가 개발한 먹기와 마시기 기능 분류 체계(EDACS) 는 뇌성마비의 섭식 효율성과 안정성을 확인하는 섭식기 능 분류 체계이다. EDACS는 3세 이상 뇌성마비의 섭식 효율성과 안정성을 측정하는 EDACS 5단계, 독립적인 먹기 능력을 확인하는 3단계의 EDACS 도움 단계로 평 가한다. EDACS 단계가 높을수록 섭식기능 저하를 뜻한 다(Table 1). 검사자간 신뢰도는 EDACS 단계 78% (Kappa = 0.72,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0.93), 도움 단계 87%(kappa = 0.80; ICC = 0.92)였다. 기존의 연하장애 평가도구와 강함(functional oral intake scale, swallow function score) - 매우 강 함(food intake level scale)의 타당도를 보였다(Goh, Choi, Kim, Park, & Park, 2018). EDACS는 전문가 및 보호자의 관찰을 통해 뇌성마비의 연하장애를 분류하고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아동과 청소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or Children and Youth; ICF-CY)개념에서 활동, 참 여, 환경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임상 현장 과 연구에서 뇌성마비의 섭식 문제 확인에 추천된다 (Barlow & Sullivan, 2021; Benfer et al., 2017;Seo & Kim, 2019).

    4. 중재 방법

    OMFT는 구강운동치료 문헌 고찰, 관련 교육을 기반 으로 임상가의 전문적인 경험을 반영하여 고안된 체계화 된 구강운동치료법이다(Min et al., 2021a). OMFT는 준비 기법, 핵심 기법, 응용 기법의 3 영역 50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2). OMFT는 구강 구조물에 감각 운동 자극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구강운동치료와 더불어 자세 조절, 구강 감각 적응을 통한 사전 준비와 실제 음식 처리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포함되어 있다. 각 기법의 내용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준비 기법 : 목, 얼굴, 어깨 근긴장도 조절, 자세 조절 및 정렬, 비강 호흡 촉진, 구강 내 촉각 및 고유감각 자극 제공 및 적응, 2) 핵심 기법 : 구강 구조물 촉진, 얼굴과 구강 구조물의 근 긴장도 및 길이 조절, 근력 증진, 구강 구조물 움직임 촉 진, 씹기 등 통합적인 움직임 촉진, 3) 응용 기법 : 대상 아동의 섭식 단계에 따른 음식물 활용으로 인식, 적응, 삼킴 기능 촉진(Min et al., 2021b).

    OMFT는 치료사의 직접적인 도수 접근을 통해 대상자 의 반응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촉진 기법을 제공하는 매 뉴얼로 구성된다. OMFT는 의식 저하, 지시 따르기 어려 움, 자발적인 참여가 어려운 급성기, 만성 대상자, 영유아 아동에게도 효과적이다. 또한 대상자의 기능 수준에 따 라서 단계적인 접근 및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FT를 개발한 연구자 1인이 30분, 주 1회, 16주 동안 총 16회 대상 아동의 발달 및 기능 수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OMFT의 준비 기 법, 핵심 기법, 응용 기법 순으로 치료를 진행하였다.

    5. 통계 및 분석 방법

    본 연구 결과는 Window SPSS ver. 2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샤피로 윌크 검정(Shapiro wilk) 결과 정규 분포를 하지 않아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을 사 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하였다. 프리 드만 검정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치료 기간별 차이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법(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사후 검정 하였으며 총 3회기의 비교이기 때 문에 1종 오류확률을 낮추기 위해 본페로니 검정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해 수정된 유의수준(α) 은 .017(0.05/3)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대상 아동 총 21명 중 남자 15명(71.4%), 3~4세 10 명(48.7%), GMFCS Ⅴ단계 11명(52.4%), 경직형 16 명(76.2%), 사지마비 16명(76.2%)가 가장 많았으며 조산은 14명이었다(Table 3).

    성별 등 2개로 구성된 변수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법, 연령, GMFCS 단계 등 3개 이상으로 구성된 변수는 크루스칼 월리스(Kruskal Wallis)를 활용하여 초기 평 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EDACS 단계에서는 조산, 신체 침범 부위에서, EDACS 도움 단계에서는 연령, 신체 침 범 부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GMFCS 단계에서 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원점수 평균은 단계적으로 증가하였다(Table 4).

    2. 구강운동촉진기술(OMFT) 후 섭식기능 결과

    참가자의 섭식기능은 EDACS 단계 점수 초기 3.62 ± 0.50, 8주 3.14 ± 0.85, 16주 2.61 ± 1.02로 치료 기간 별로 유미하게 향상되었다(χ2 = 26.00, p < .001). EDACS 도움 단계는 초기 2.86 ± 0.36, 8주 2.76 ± 0.44, 16주 2.76 ± 0.44로 치료 기간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able 5). 사후검정 결과 EDACS 단계에서 치료 기간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초기-종결, 초기-중간, 중간-종결 순으로 효과적이었다(Figure 2).

    프리드만 검정(Friedman test) 결과 EDACS 단계에 서는 7~8세, GMFCS Ⅲ단계, 무정위형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치료기간 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EDACS 도움 단계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 았다(Table 6).

    Ⅳ. 고 찰

    16주 간의 OMFT 적용이 뇌성마비의 섭식기능에 긍 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OMFT 적용 후 EDACS 단계 는 초기(3.62 ± 0.50), 8주(3.14 ± 0.85), 16주(2.61 ± 1.02)로 단계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OMFT의 준비 기법, 핵심 기법, 응용 기법이 자세 조절, 호흡 및 구강 감각 적응, 구강 구조물에 직접적인 촉진을 바탕으로 구 강운동기능 증진, 직접적인 섭식 처리 활동으로 구성된 복합적인 구강운동 프로토콜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 다. 그 중 구강운동기능은 EDACS에서 주로 평가하는 요 소인 섭식의 효율성 및 안정성과 직결되는 요소이기 때 문에 OMFT 적용이 구강운동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인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 향상의 치료 효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사료된다.

    Gisel(1994)은 두 대상군에게 구강운동치료와 씹기 활동을 각각 적용하여 중재 후 두 군 모두 숟가락으로 먹기, 물기, 씹기 항목의 섭식기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구강에서의 미세한 음식물 처리 등의 구강운동 기술 증진은 구강운동치료가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Baghbadorani 등(2014)의 연구에서도 Gisel(1994)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구강운동치료와 씹기 중심의 치료를 두 군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이후 구강 운동 평가 척도(Oral Motor Assessment Scale; OMAS)를 통해 입술과 혀의 움직임, 수저 사용, 빨대, 씹기 등 섭식기능 향상을 확인하였다(de Oliveira, Ciamponi, Mendes, & Santos, 2009). 구강운동치료와 씹기 중재 모두 섭식기 능을 이루는 구강운동에 속하는 구강 움직임이다(Morris & Klein, 2000). 구강 구조물에 대한 운동촉진과 씹기 훈련 역시 OMFT의 치료 기법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요 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OMFT에는 자세 조절 및 구강 감각 적응의 준비 과정이 선행되어 종합적인 구강운동치 료 접근이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기능 향상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구강운동치료가 뇌성마비의 섭식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반면, OMFT 적용 후 EDACS 도움 단계에서의 유의미 한 변화는 없었다. 이는 EDACS의 구성 요소와 OMFT 의 주요 치료 목적의 차이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 다. EDACS 도움 단계는 도구를 잡고 유지하여 입으로 음식을 옮기는 눈-손 협응 및 상지 조절 기능이 요구되 는 활동을 평가한다. 그러나 OMFT의 치료 목표는 구 강 감각 인식, 자세 조절, 구강운동기능 촉진 등으로 EDACS 도움 단계의 구성 요소와 차이가 분명하다. 이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하재활치료가 안전하 고 효율적으로 음식을 처리하고 삼키는 섭식기능 향상의 단편적인 접근 뿐 아니라 자세 조절, 인지 기능, 일상 생 활 능력 등의 포괄적인 접근이 동반되어야 함을 강조한 다. 특히 작업치료사 등 연하재활 전문가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중재를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전문적인 접근을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치료 기간별 EDACS 단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7~8세, GMFCS III단계, 무정 위형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OMFT가 3~10세의 대부분의 연령, GMFCS Ⅵ, Ⅴ단계의 심각한 운동 장애, 경직형 사지마비 등 다양 한 범위와 특징이 있는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증진에 효 과적인 것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 대상자 중 23.9%는 7세 이상 학령기 아동으 로 10~30개월, 5세 이하, 학령전기 아동을 주 대상으로 했던 선행 연구들의 대상보다 연령이 높았다(Benfer et al., 2012b; Sharp et al., 2017;Sigan et al, 2013). 일반적으로 3세 경 구강운동 발달의 기초가 되는 섭식 및 구강운동기능이 급격이 발달한다(Benfer et al., 2012b;Morris & Klein, 2000; Speyer et al., 2019). 따라서 주요 시기(critical period)에서의 적절한 섭식 및 구강운동치료가 중요하다(Morris & Klein, 2000).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구강운동치료 경험이 부족하고, 특히 OMFT 경험은 전 무하였다. 이는 발달적으로 구강운동 및 섭식기능 발달 시기를 넘긴 만성 학령기 아동의 경우라도 체계적인 구 강운동치료가 제공된다면 연령에 상관없이 섭식기능이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하재 활 전문가는 평가와 관찰을 통해 아동의 연령에 상관없 이 구강 및 섭식기능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구강 운동치료 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선행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각 제한이 없거나, 지시 따르기가 가능한 아동이 대부분이었다(Baghbadorani et al, 2014; Gisel, 1994; Song et al., 2013).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심각한 운동 및 지각 장애 등으 로 지시따르기가 어렵거나, 청각, 시각 등 지각 제한이 동반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상자들에서도 OFMT 적용 후 섭식기능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일반적 으로 재활치료에서 가장 효과성이 큰 치료법은 대상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이나, 감각운동 자극, 근긴장 도, 근력, 지구력 등 기본적인 운동 준비가 선행되었을 때 최적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Bordoloi & Deka, 2018). 따라서 OMFT 준비 기법의 주요 활동 및 목표인 자세 조절, 감각 적응, 핵심 기법에서 구강 구조물의 직접 적인 구강운동 촉진 제공을 통해 운동 및 지각 장애가 심 하거나, 만성 뇌성마비 아동에게도 효과가 있었던 것으 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치료 후 8주, 16주에서 모두 효과가 있 었고, 16주 치료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선행 연구에서도 10주보다 20주, 4주보다 8주의 치료가 더 효과적이었다 고 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충분한 치료 횟수 적용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다(Baghbadorani et al., 2014; Gisel, 1994). 그러나 세 연구 모두에서 그 기준이 되는 치료 횟수는 상이하였기 때문에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적절한 치료 횟수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OMFT는 섭식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다. OMFT는 GMFCS Ⅲ~Ⅴ 단계 의 중등도-심각한 운동 장애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증진 에 효과적이다.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향상을 위해 최소 8주 이상, 16주의 치료가 더욱 효과적이다. OMFT는 영 유아, 6세 이상의 학령전기, 학령기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증진에 효과이다. OMFT는 지시 따르기가 어렵거나, 지 각 제한이 있는 아동에게도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자 1인이 평가와 치료의 모든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는 평가와 치료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제공하는 주요 수단이 나, 평가자, 치료자 분리, 눈가림 법 등 연구 결과의 타당 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을 제한점으로 볼 수 있다 (Baghbadorani et al., 2014). 또한 대조군 연구가 이루 어지지 않아 OMFT와 다른 연하재활 치료의 효과 크기 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16주 후 충분한 기간 의 경과 관찰(follow up)을 진행하지 않아 OMFT의 중 재 효과 지속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뇌성마비는 경직형, 운동이상형 등 유형과 대동작 기능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운동 조절 특징과 섭식 문제의 원인 이 다를 수 있어 운동 특성에 따른 OMFT 효과를 확인하 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높은 연령의 뇌성마비의 섭식기능 증진 효과가 확인된 만큼, 치료 공백 이 나타날 수 있는 고연령 뇌성마비의 구강운동 및 섭식기 능, 침흘림 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효과 확인, 대조군 연구 등을 통해 OMFT의 치료 효과 확인을 통한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역시 필요하다. 구강운동 문제로 인한 섭식 및 연하장애는 뇌성마비 뿐 아니라 뇌졸중, 파킨슨병, 두 경부암, 치매, 근육질환, 다운증후군, 발달 장애 등 다양한 질환의 대상자에게도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의 대 상자의 OMFT 중재 효과도 확인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 구에서 변수에 따라 원점수의 단계적 변화가 있음에도 통 계적으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변수들이 있어 변 수별 충분한 수의 대상자를 확보하여 보다 신뢰가 높고 타당한 결과 확인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경험 많은 치료사일수록 구강운동치료를 많이 활용하 고 있으며, 응답자의 83%가 구강운동치료 중재 제공을 위한 훈련과 슈퍼비전이 필요하다고 한 선행 연구의 결 과를 통해 구강운동치료는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치료법 임이 다시 확인되었으며 임상 전문가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McLnerney, Reddinhough, Carding, & Imms, 2020). Barlow와 Sullivan(2021) 은 미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임상 전문가의 질 향 상을위해 미국 내 구강운동치료 교육 기관 사이트를 소 개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구강운동기술 치료 훈련 기회가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작 업치료사 등 연하재활치료 전문가들은 OMFT 워크샵 참 여 등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중심으로 적절한 치료를 제 공할 수 있도록 스스로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 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기능 회복 증진이 기대 되고 삶의 질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본 연구 결과 16주 동안의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3~10세 뇌 성마비의 섭식기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 하였다. 또한 중증-심각한 운동 수준, 지각 제한 및 지시 따르기가 어려운 뇌성마비에게도 효과적이었다. 8주, 16 주 모두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16주가 더욱 효과적인 것 으로 확인되어 임상에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할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Figure

    JKSOT-30-4-81_F1.gif

    The Process of the Study

    JKSOT-30-4-81_F2.gif

    Post Hoc Analysis of EDACS

    Table

    EDACS Level

    Contents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 = 21)

    Baseline Assessment Results of Participants’ Variables (N = 21)

    Effect of OMFT Treatment on Feeding Skills in CP (N = 21)

    EDACS Level Result Depends on Participants’ Variables (N = 21)

    Reference

    1. Arvedson, J. C. (2013). Feed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swallowing difficultie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7(2), S9-S12.
    2. Arvedson, J. , Clark, H. , Lazarus, C. , Schooling, T. , & Frymark, T. (2010). The effects of oral‐motor exercises on swallowing in children: An evidence ‐based systematic review.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2(11), 1000-1013.
    3. Baghbadorani, M. K. , Soleymani, Z. , Dadgar, H. , & Salehi, M. (2014). The effect of oral sensorimotor stimulations on feed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cta Medica Iranica, 899-904.
    4. Barlow, K. , & Sullivan, K (2021). Evaluation of Feeding, Eating, and Swallow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trieved from https://www.aota.org/Education-Careers/Continuing-Education/AOTACE/CE-Articles/pediatric-feeding-cp.aspx
    5. Benfer, K. A. , Weir, K. A. , Bell, K. L. , Ware, R. S. , Davies, P. S. , & Boyd, R. N. (2012a). Longitudinal cohort protocol study of oropharyngeal dysphagia: Relationships to gross motor attainment,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in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2(4), e001460.
    6. Benfer, K. A. , Weir, K. A. , & Boyd, R. N. (2012b). Clinimetrics of measures of oropharyngeal dysphagia for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4(9), 784-795.
    7. Benfer, K. A. , Weir, K. A. , Bell, K. L. , Ware, R. S. , Davies, P. S. , & Boyd, R. N. (2017). The eating and drinking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9(6), 647-654.
    8. Bordoloi, K. , & Deka, R. S. (2018). Scientific reconciliation of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rood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ciences and Research, 8(9), 225-234.
    9. Calis, E. A. , Veugelers, R. , Sheppard, J. J. , Tibboel, D. , Evenhuis, H. M. , & Penning, C. (2008). Dysphagia in children with severe generalized cerebral pals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0(8), 625-630.
    10. De Oliveira Lira Ortega, A. , Ciamponi, A. L. , Mendes, F. M. , & Santos, M. T. B. R. (2009). Assessment scale of the oral motor performa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logical damages.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36(9), 653-659.
    11. Gisel, E. G. (1994). Oral-motor skills following sensorimotor intervention in the moderately eating-impaired child with cerebral palsy. Dysphagia, 9(3), 180-192.
    12. Goh, Y. R. , Choi, J. Y. , Kim, S. A. , Park, J. , & Park, E. S. (2018). Comparisons of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s for oropharyngeal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lations with other functional profil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72, 248-256.
    13. Greer, A. J. , Gulotta, C. S. , Masler, E. A. , & Laud, R. B. (2008). Caregiver stress and outcomes of children with pediatric feeding disorders treated in an intensive interdisciplinary program.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3(6), 612-620.
    14. Kent, R. D. (2015). Nonspeech oral movements and oral motor disorders: A narrative review.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4(4), 763-789.
    15. Korth, K. , & Rendell, L. (2015). Feeding intervention. In J. Case-Smith, & J. C. O’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th ed., pp. 389–414). St. Louis. Mosby.
    16. McLnerney, M. , Reddihough, D. S. , Carding, P. N. , & Imms, C. (2020). Drooling in children with neurodisability: A survey of Australia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2(5), 601-609.
    17. Min, K. C. , Seo, S. M. , & Woo, H. S. (2021a).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theoretical base and basic concept.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10(1), 37-52.
    18. Min, K. C. , Seo, S. M. , & Woo, H. S. (2021b).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I-conceptual hierarchy and key point technique.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10(1), 53-61.
    19. Min, K. C. , & Seo, S. M. (2021). The effect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OMFT) on oral praxis of Down syndrome child: Case stud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4), 153-160.
    20. Min, K. C. , & Kim, B. K. (2022). The effect of early feeding therapy by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OMFT) on feeding development of Prader-Willi syndrome baby – based on the development: Case stud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2(1), 180-188.
    21. Morris, S. E. , & Klein, M. D. (2000). Pre-feeding skills: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mealtime development. San Antonio: Therapy skill builder.
    22. Rogers, B. (2004). Feeding method and health outcom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Pediatrics, 145(2), S28–S32.
    23. Rosenbaum, P. , Paneth, N. , Leviton, A. , Goldstein, M. , Bax, M. , Damiano, D. , ... & Jacobsson, B. (2007).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109(suppl 109), 8-14.
    24. Sellers, D. , Mandy, A. , Pennington, L. , Hankins, M. , & Morris, C. (2014).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the eating and drinking ability of people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6(3), 245-251.
    25. Seo, S. M. , & Kim, J. B. (2019).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assessment tools used to measure feeding intervention resul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3), 639-645.
    26. Sharp, W. G. , Volkert, V. M. , Scahill, L. , McCracken, C. E. , & McElhanon, B. (2017).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nsive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for pediatric feeding disorders: How standard is the standard of care?. Journal of Pediatrics, 181, 116-124.
    27. Sigan, S. N. , Uzunhan, T. A. , Aydinli, N. , Eraslan, E. , Ekici, B. , & Calişkan, M. (2013). Effects of oral motor therap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nals of Indian Academy of Neurology, 16(3), 342-346.
    28. Song, W. J. , Park, J. H. , Jung, M. Y. , & Yoo, E. Y. (2013). Effect of oral sensory treatment on oral function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4), 47-58.
    29. Speyer, R. , Cordier, R. , Kim, J. H. , Cocks, N. , Michou, E. , & Wilkes‐Gillan, S. (2019). Prevalence of drooling, swallowing, and feeding problems in cerebral palsy across the lifesp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61(11), 1249- 1258.
    30. Stein, K. (2000).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s: An emerging issue.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00(9), 1000.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kjot.kr

    3. KSOT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Mobile : +82-10-8311-9310
      - E-mail: ksotoffice@nate.com
      - Address:
      135 Backun Hall,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1, Yeonsedae-gil, Wonju-si, Gangwon-do, Republic of Korea, Postal code: 26493.